반응형

2분기 14

LG에너지솔루션 2024년 2분기 잠정실적 발표

LG에너지솔루션이 2024년 2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매출 6조1619억 원, 영업이익 1953억 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9.8% 감소, 영업이익은 57.6% 감소했다. 전기 대비 매출은 0.5%, 영업이익은 24.2% 증가했다.미국 IRA(Inflation Reduction Act)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dvanced Manufacturing Production Credit) 제도(45X)에 따른 Tax Credit은 4478억 원으로 동 금액을 제외한 영업이익은 -2525억 원이다.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이며 투자자들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LG전자, 매출액-영업이익 모두 역대 2분기 최대

LG전자(대표이사 조주완)가 2024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1조 7,009억 원, 영업이익 1조 1,961억 원의 잠정실적을 발표했다.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어 역대 2분기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무려 61.2% 올라 2분기 기준 1조 원을 처음으로 넘겼다. 매출액도 전년 동기 대비 8.5% 올랐다.직전 분기를 합친 상반기로 비교해 보더라도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5.9%, 영업이익은 13% 올랐다. LG전자의 상반기 매출액은 3년 연속으로 40조 원을, 영업이익은 4년 연속으로 2조 원을 상회했다.■ 2분기 주력 사업과 미래 성장사업의 ‘균형 잡힌 질적 성장’이 지속돼올 2분기는 주력 사업과 미래 성장사업이 균형 잡힌 질적 성장을 지속했다.생활..

삼성전자, 2024년 2분기 잠정실적 발표

삼성전자가 연결기준으로 매출 74조원, 영업이익 10.4조원의 2024년 2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2분기 실적의 경우 전기 대비 매출은 2.89%, 영업이익은 57.34% 증가했고,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3.31%, 영업이익은 1,452.24% 증가했다.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이며, 아직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는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다.삼성전자는 2009년 7월부터 국내 기업 최초로 분기 실적 예상치를 제공하고, 2010년 IFRS를 先적용함으로써 글로벌 스탠다드에 입각한 정보 제공을 통해 투자자들이 보다 정확한 실적 예측과 기업가치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주주가치를 제고해 왔다.한편, 삼성전자는 투자자들과의 소통..

[GameNews] NC소프트, 2018년 2분기 실적 발표

㈜엔씨소프트(대표 김택진)가 2018년 2분기 실적 결산(연결기준) 결과 매출 4,365억 원, 영업이익 1,595억 원, 당기순이익 1,402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9%, 325% 상승했고, 당기순이익은 355% 증가했는데, 전분기 대비 매출은 8%, 영업이익은 22%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18% 늘었습니다. 매출을 제품별로 살펴보면, 모바일게임 2,099억 원, 리니지 421억 원, 리니지2 133억 원, 아이온 156억 원, 블레이드 & 소울 306억 원, 길드워2 199억 원으로 집계됐으며, 지역별로 살펴보면, 한국2,959억 원, 북미/유럽 322억 원, 일본 85억 원, 대만 74억 원이었습니다. 로열티는 924억 원이었습니다. 리니지M 등 ..

Game News 2018.08.17

[News] 카카오, 2018년 2분기 실적 발표

카카오(공동대표 여민수, 조수용)는 9일 K-IFRS(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기준 2018년 2분기 연결 매출 5,889억원, 영업이익 27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카카오의 2분기 연결 매출은 광고, 콘텐츠, 기타 등 전 사업부문의 고른 성장세에 힘입어 역대 분기 매출 최고치 및 5분기 연속 매출 성장세를 기록했습니다. 광고 플랫폼 부문 매출은 계절적 성수기 효과, 신규 카카오 광고 플랫폼인 카카오모먼트의 효과로 전분기 대비 8% 성장했으며 전년동기 대비로도 캐쉬프렌즈, 알림톡 등 카카오 기반 광고 매출의 성장으로 10% 성장한 1,66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콘텐츠 플랫폼 부문 매출은 게임, 뮤직, 유료 콘텐츠 부문의 고른 성장세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6%, 전년 동기 대비로는 29% 증가한 3,0..

[News] KT, 2분기 매출 5조8069억, 영업이익 3991억

KT(회장 황창규, www.kt.com)는 2018년 2분기 연결기준(K-IFRS 1115호 신수익회계기준) 매출 5조8069억원, 영업이익 3991억원을 기록했다고 3일 밝혔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매출은 0.6% 감소, 영업이익은 10.8% 감소했다. 마케팅 비용 증가와 일회성 인건비 요인 등 영업비용 증가가 영업이익 감소에 영향을 미쳤으며, 전분기 대비로는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1.7%, 0.5%, 25.2% 증가했습니다. 지난해까지 적용된 구 회계 기준으로는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0.7% 증가한 5조8824억원이었으며 영업이익은 마케팅 비용 증가로 전년동기대비 15.7% 감소한 376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2분기 사업별 매출 증감을 구 회계기준으로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하면..

[News] 네이버, 2018년 2분기 영업수익 1조 3,636억 원, 영업이익 2,506억 원 기록​

네이버㈜(대표이사 사장 한성숙, www.navercorp.com)는 2018년 2분기에 영업수익(매출) 1조 3,636억 원, 영업이익 2,506억 원, 당기순이익 3,140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2분기 연결 영업수익은 전년동기 대비 20.7%, 전분기 대비 4.2% 증가한 1조 3,636억 원을 기록했으며, 연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2.1%, 전분기 대비 2.5% 감소한 2,506억 원입니다. 사업 부문별 영업수익과 비중은 ▲광고 1,487억 원(11%) ▲비즈니스플랫폼 6,116억 원(45%) ▲IT플랫폼 857억 원(6%) ▲콘텐츠서비스 317억 원(2%) ▲LINE 및 기타플랫폼 4,859억 원(36%)입니다. ▶광고는 모바일 메인 상품이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으나 높은 기저 영..

[News] LG디스플레이, 2018년 2분기 실적 발표

LG디스플레이(대표이사 부회장 한상범 / www.lgdisplay.com)가 25일,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2018년 2분기 매출 5조 6,112억원, 영업손실 2,28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LCD 패널 판가의 급격한 하락과 더불어 세트업체들의 보수적 구매 진행으로 인한 출하 감소로 매출은 전 분기 5조 6,752억원 대비 1%, 전년 동기 6조 6,289억원 대비 15% 감소했고, 이에 2,281 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습니다. 당기순손실은 3,005억원, EBITDA는 6,809억원(EBITDA 이익률 12%)을 기록했습니다. 2018년 2분기 매출액 기준 제품별 판매 비중은 TV용 패널이 판가 하락폭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OLED TV 비중 확대로 전 분기 대비 1% 감소..

[News] 삼성전자, 2018년 2분기 실적 발표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으로 매출 58.48조원, 영업이익 14.87조원의 2018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2분기에는 메모리가 호조를 이어갔지만,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판매가 감소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0.8조원 증가했습니다. 전분기 대비는 매출은 3%, 영업이익은 0.8조원 감소했습니다.반도체는 데이터센터와 고용량 스토리지용 제품의 수요 증가로 견조한 실적을 달성한 가운데, 특히 1X 나노 기반의 64GB 이상 서버D램등 고용량·고부가 제품 판매에 주력해 제품 경쟁력을 공고히 했으며, 디스플레이는 플렉시블 OLED 패널의 수요 둔화와 LCD TV 패널의 판매 감소로 실적이 감소했습니다.IM 부문은 하이엔드(High-end) 스마트폰 시장 수요 정체 속 갤럭시 S9의 판매..

[News] SK하이닉스, 2018년 2분기 경영실적 발표

SK하이닉스가 2018년 2분기 사상 최대 분기 경영 실적을 경신했다. 매출액 10조3,705억 원, 영업이익 5조5,739억 원, 순이익 4조3,285억 원으로 모든 부문에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K-IFRS 연결 기준) 2분기는 우호적인 메모리 수요 환경이 지속되는 가운데 D램과 낸드플래시 모두 큰 폭의 출하량 증가를 기록하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 분기 대비 각각 19%, 28% 증가했는데, 2분기 D램 출하량은 서버와 PC용 제품의 수요 강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전 분기대비 16% 증가했습니다. 평균판매가격은 시장 전반에 걸친 공급 부족 상황이 지속되면서 모든 제품군의 가격이 고르게 올라 4% 상승했고, 낸드플래시 출하량 또한 SSD 수요 확대와 중국 모바일 제품의 고용량화 추세에 힘입어..

반응형